2025. 3. 17. 11:23
2025년 킨텍스 개최 박람회 일정 및 정보
코리아빌드위크 2025 (Korea Build Week 2025)
- 개최 일정: 2025년 2월 19일(수) ~ 2월 22일(토) (4일간)
- 주최/주관: ㈜메쎄이상 (Messe ESANG)
- 주요 참가 기업/기관: 건축자재·인테리어 관련 약 700개 업체 (2,500여 부스 규모) – 국내 최대 건축산업 박람회로 관련 기업 총출동
- 주요 내용 및 특징: 건설·건축·인테리어부터 환경, 소방방재, 건물 유지관리 등 6개 산업을 망라하는 종합 전시회 . 최신 건축자재, 스마트건설 기술, 인테리어 디자인 신제품 등을 한자리에서 소개하며, 건축 공구·창호·학교시설 개선 등의 특별전과 동시행사가 함께 열린다 . 업계 전문가 대상 세미나와 B2B 상담은 물론, 건축에 관심 있는 일반 관람객도 최신 트렌드를 체험할 수 있다 .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전관
- 관람객 대상: 건설·건축업계 종사자(B2B) 및 인테리어에 관심 있는 일반인(B2C) 모두 참여 가능 (사전등록 시 무료 입장)
- 공식 홈페이지: koreabuild.co.kr
경기국제보트쇼 2025 (Korea International Boat Show 2025)
- 개최 일정: 2025년 2월 28일(금) ~ 3월 2일(일) (3일간)
- 주최: 해양수산부, 경기도
- 주관: 킨텍스, 한국마리나협회, 한국해양레저산업협회
- 주요 참가 기업/기관: 국내외 요트·보트 제조사, 해양레저 장비업체, 해양관련 공공기관 등. (아시아 3대 보트쇼로 손꼽히는 대형 박람회 ) HD현대등 대형 조선·해양 기업부터 중소 레저용품 업체까지 다수 참가.
- 주요 내용 및 특징: 대한민국 해양레저 산업을 대표하는 종합 박람회로 대형 요트부터 카라반까지 총집합한 전시회 . 최신 보트, 선박용 엔진, 마리나 시설, 서핑·카약 등 해양레저 용품을 전시하며, 관람객이 직접 해양레포츠를 체험해볼 수 있는 이벤트도 마련된다. 해양산업 발전 세미나와 국제 컨퍼런스도 함께 열려 업계 정보 교류의 장이 된다. (※ KOFISH 낚시박람회 동시 개최)
- 장소: 킨텍스 제2전시장 (실내 전시장 및 일부 야외 마리나 전시)
- 관람객 대상: 해양·레저 산업 종사자, 바이어(B2B) 및 해양레저에 관심 있는 일반인(B2C). 매년 약 6만5천여 명 이상 방문하는 대형 행사 .
- 공식 홈페이지: kibs.com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 (KOPPEX 2025)
- 개최 일정: 2025년 3월 5일(수) ~ 3월 7일(금) (3일간)
- 주최: 조달청, 경기도, 고양시 (공동 주최)
- 주관: 조달청 나라장터 엑스포 사무국 (조직위원회)
- 주요 참가 기업/기관: 조달청 등록 우수 중소기업 약 수백 개사 및 전국 공공기관·지자체 조달 담당자 (조달등록 7만여 공공기관 관계자 참석) . 혁신제품을 보유한 중소기업들과 공공구매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임.
- 주요 내용 및 특징: 국내 유일의 공공조달 종합박람회로, 정부 및 공공기관에 납품될 우수 중소기업 제품 전시회 . 중소기업의 판로 지원을 위해 공공기관 구매상담회, 계약 상담, 기술 소개 등이 이뤄지며, 혁신 조달제품 시연과 정책 설명회도 열린다. 2025년 행사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어 “세계로 가는 K-조달, 혁신을 조달하다!” 슬로건 아래 공공조달을 통한 경제활성화에 초점을 맞춘다 .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고양시)
- 관람객 대상: 공공기관·지자체 조달 담당자(B2G) 및 중소기업 관계자(B2B). (일반 관람객도 사전등록 시 참관 가능하나, 전문성이 높은 행사)
- 공식 홈페이지: www.koppex.com
서울모빌리티쇼 2025 (Seoul Mobility Show 2025)
- 개최 일정: 2025년 4월 3일(목) 프레스데이를 시작으로, 4월 4일 ~ 4월 13일(일) 일반 공개 (총 11일간)
- 주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
- 주관: 서울모빌리티쇼 조직위원회
- 주요 참가 기업/기관: 현대자동차·기아를 비롯한 국내 완성차 업체와 BMW,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그리고 자율주행·전기차 관련 스타트업, 모빌리티 기술 기업들. 특히 HD현대(현대건설기계) 등이 처음으로 참가하여 건설기계 분야 미래 모빌리티를 선보일 예정 .
- 주요 내용 및 특징: 2년에 한 번 열리는 국내 최대 규모 자동차/모빌리티 전시회. 2025년 주제는 “Mobility, Everywhere”로, 승용차 신차 공개는 물론 친환경 선박(UAM), 도심항공모빌리티, 건설기계 모빌리티 등 미래 이동수단까지 아우른다 . 완성차 신모델, 전기차·수소차 등의 친환경차, 자율주행 기술, AI 로봇 등 혁신 모빌리티 기술을 대거 전시하며 , 세계 모빌리티 동향을 논의하는 서울모빌리티포럼, 아시아 모빌리티 협력 포럼 등 국제회의도 함께 열린다 . 관람객은 다양한 시승 행사와 체험 이벤트를 즐길 수 있다.
- 장소: 킨텍스 제1·2전시장 전역 (경기 고양시)
- 관람객 대상: 자동차·모빌리티 산업 종사자, 바이어(B2B) 및 자동차에 관심있는 일반 대중(B2C). 전문 관람일부터 일반인까지 약수십만 명의 관람객이 찾는 대형 모터쇼 .
- 공식 홈페이지: mobilityshow.or.kr
Korea Pack & ICPI WEEK 2025 (국제포장·제약·화장품산업 전시주간)
- 개최 일정: 2025년 4월 22일(화) ~ 4월 25일(금) (4일간)
- 주최/주관: ㈜경연전람 (Kyungyon Exhibition Corp.)
- 동시 개최 전시회: KOREA PACK(국제포장전), KOREA MAT(물류산업전), KOREA PHARM & BIO(의약품·바이오산업전), KOREA CHEM(화학장치산업전), COPHEX(제약·화장품 기술전), CI KOREA(화장품 원료·재료전) 등 총 7개 전문 전시회가 같은 기간에 열려 ICPI WEEK를 구성 . 포장기계부터 제약·화장품 제조공정, 물류·유통 설비까지 산업 전 과정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음.
- 주요 참가 기업/기관: 포장 기계 및 자재 기업, 물류 장비 업체, 제약·바이오 생산설비 기업, 화학 장치 기업, 화장품 원료 및 제조설비 업체 등 수백 개사가 참여. (국내 대표 B2B 산업 전시회로 관련 기업 대거 참가)
- 주요 내용 및 특징: 제약, 바이오, 화장품, 화학, 연구개발(R&D), 생산제조, 물류, 포장에 이르는 전 공정 산업 솔루션을 망라하는 대형 B2B 박람회 . 최첨단 자동화 포장기계, 스마트 물류 시스템, 제약·화장품 생산 기술, 실험실 장비, 친환경 포장재 등 각 전시 분야별 신기술이 소개된다. 여러 전시가 한곳에서 열리는 만큼 산업 간 융합 기술과 종합 비즈니스 상담 기회가 풍부하며, 참가업체와 바이어 간 1:1 비즈매칭, 신제품 발표회, 세미나 등 부대행사도 진행된다.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 제2전시장 (전관 사용) – 킨텍스 전체 홀에서 동시 진행
- 관람객 대상: 제약·바이오·식품·화장품 제조업계의 바이어, 엔지니어, 연구원 등 전문 산업 종사자(B2B). (일반인의 관람은 제한됨)
- 공식 홈페이지 및 자료: Korea Pack 공식 홈페이지 / 경연전람 전시 안내 페이지
플레이엑스포 2025 (PlayX4 2025)
- 개최 일정: 2025년 5월 22일(목) ~ 5월 25일(일) (4일간)
- 주최: 경기도
- 주관: 경기콘텐츠진흥원, 킨텍스 (등)
- 주요 참가 기업/기관: 넥슨·넷마블 등 국내 주요 게임사부터 인디 게임 개발사, 게임 관련 스타트업, 게이밍 하드웨어 업체 등. 또한 해외 퍼블리셔 및 플랫폼 사업자 등 게임산업 관계자들. (해외 시장 진출을 노리는 중소 게임사들이 대거 참여)
- 주요 내용 및 특징: 게임 및 콘텐츠 종합 박람회로, 신작 게임 전시 및 체험을 중심으로 한다 . 관람객들은 최신 온라인게임, 콘솔게임, VR/AR 게임을 현장에서 플레이해볼 수 있고, 추억의 레트로 게임 장터, e스포츠 대회, 코스프레 쇼 등 다채로운 부대행사가 진행된다 . 또한 B2B 참가자를 위한 게임 수출상담회와 인디게임 쇼케이스, 게임개발 컨퍼런스 등이 함께 열려 비즈니스 교류도 활발하다 . 국내 게임개발사의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시작되어 이제는 국내 최대 게임쇼 중 하나로 성장한 행사 .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3, 4, 5홀
- 관람객 대상: 게임업계 관계자(B2B) 및 게임을 즐기는 일반 게이머 대중(B2C). 산업 관계자 대상의 B2B 전문관(비즈니스 데이)과 일반인 대상 체험관으로 구분 운영됨.
- 공식 홈페이지: playx4.or.kr
서울 푸드 & 호텔 2025 (Seoul Food & Hotel 2025)
- 개최 일정: 2025년 6월 10일(화) ~ 6월 13일(금) (4일간)
- 주최: KOTRA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 주관: KOTRA, 인포마 마켓(Informa Markets) 공동주관
- 주요 참가 기업/기관: 국내 식품제조 대기업부터 중소 식품업체, 글로벌 식품·음료 수출입사, 호텔·레스토랑 납품업체 등 약 1,500여 개사가 참가하는 한국 최대 식품산업 무역전시회 . (세계 4대 식품박람회 중 하나로 아시아에서도 손꼽히는 규모)
- 주요 내용 및 특징: 식품·음료 분야 B2B 전문 전시회로, 농수산 식재료, 가공식품, 건강식품, 주류, 음료, 디저트, 식품포장, 급식설비, 호텔·외식산업 등 식품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품목을 전시 . 국내외 바이어를 위한 수출상담회와 국내 유통업체 구매상담회가 열리며, 세계 식품 트렌드를 소개하는 세미나, 글로벌 셰프 경연, 국가관 시식행사 등도 함께 진행된다. 특히 SEOUL FOODPACK, FOODTECH, HORECATECH, FOODSAFETY 등 전문전시를 동시에 개최하여 식품 가공기기부터 안전관리 기술까지 한자리에서 볼 수 있다 .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15홀 및 제2전시장 78홀 (고양시)
- 관람객 대상: 식품산업 바이어, 유통업 관계자, 요식업 전문가 등 업계 종사자(B2B) 위주의 전시 . (일반인은 업계 관계자에 한해 사전등록 후 입장 가능)
- 공식 홈페이지: seoulfood.kotra.biz
K-뷰티 엑스포 코리아 2025 (K-Beauty Expo Korea 2025)
- 개최 일정: 2025년 9월 11일(목) ~ 9월 13일(토) (3일간)
- 주최: 경기도
- 주관: 킨텍스, KOTRA
- 주요 참가 기업/기관: 화장품, 미용기기, 헤어·네일, 에스테틱 등 뷰티 산업 분야 중소기업 약 400여 개사 참가 . 국내 뷰티 브랜드는 물론 해외 20여 개국의 바이어 및 해외전시관도 참여하여 국제 교류의 장을 형성.
- 주요 내용 및 특징: 대한민국 대표 뷰티 박람회로, 스킨케어·메이크업 신제품, 미용기기, 네일아트 용품, 뷰티 서비스 등을 전시한다. 참가 기업들은 현장 프로모션과 체험 부스를 통해 관람객에게 최신 뷰티 트렌드를 소개하고, 경기도가 주최하고 킨텍스·코트라가 주관하는 만큼 해외 바イヤ 초청 수출상담회도 대규모로 열린다 . 부대행사로 K-뷰티 혁신 제품 시상, 뷰티 콘테스트, 메이크업 쇼 등이 개최되어 K-뷰티 트렌드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2009년 시작되어 매년 역대 최대 규모를 경신 중인 국내 최대 뷰티산업 전시회)
- 장소: 킨텍스 제2전시장 7~8홀
- 관람객 대상: 화장품·미용 관련 업계 바이어, 유통사, 미용 전문가 등 B2B 관람객 위주. 또한 **일반인(B2C)**도 사전등록 시 입장 가능하며, 뷰티에 관심 있는 소비자가 신제품을 체험하고 구매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공식 홈페이지: kbeautyexpo.com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 2025 (K-Safety Expo 2025)
- 개최 일정: 2025년 9월 17일(수) ~ 9월 19일(금) (3일간)
- 주최: 행정안전부, 경기도
- 주관: 킨텍스, 코트라, 동반성장위원회
- 주요 참가 기업/기관: 소방·재난안전 장비기업, 산업안전용품 제조사, 보안·시설안전 솔루션 기업 등 국내외 안전산업 관련 450여 개 기관 (전년도 기준) 및 중앙부처·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대거 참여 . 공공부문 수요와 민간 안전기업을 연결하는 국내 최대 안전산업 마켓플레이스.
- 주요 내용 및 특징: 국내 최대 규모 안전산업 전시회로, 산업현장 안전, 재난예방, 생활안전, 보안 등 첨단 안전기술과 제품을 전시한다 . 행정안전부 주최 행사답게 재난안전 체험관, 국민 안전체험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관람객이 실제 체험을 통해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다. 또한 KOTRA와 연계한 해외 바이어 수출상담회, 공공기관 구매상담회가 열려 참가 기업의 판로를 지원하며, 우수 혁신기술을 시상하는 안전기술대상(K-Safety Awards) 시상식, 각종 안전세미나 및 컨퍼런스도 동시에 개최된다 . 동시개최: 한국건설안전박람회 2025 (건설분야 특화 안전전시) 등 연계행사가 함께 열려 시너지 효과 창출 .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일원 (경기도 고양시)
- 관람객 대상: 중앙정부·지자체·공공기관의 안전 담당자, 산업안전 관리자, 기업의 안전구매 담당자 등 B2G/B2B 전문 관람객. 또한 안전체험관 등은 일반 국민에게도 개방되어 **안전에 관심 있는 시민(B2C)**도 참관할 수 있다.
- 공식 홈페이지: www.k-safetyexpo.com
한국건설안전박람회 2025
- 개최 일정: 2025년 9월 17일(수) ~ 9월 19일(금) (3일간) (대한민국 안전산업박람회와 동시 개최)
- 주최/주관: 킨텍스, 마이센터(My Center)
- 주요 참가 기업/기관: 건설현장 안전관리 전문기업, 안전장비·보호구 제조사, 건설사 안전관리 부서, 건설안전 관련 공공기관 등.
- 주요 내용 및 특징: 건설산업에 특화된 안전 박람회로, 건축·토목 현장에서 활용되는 추락 방지 시스템, 스마트 안전센서, 안전모·안전화 등 보호구, 건설기계 안전장치 등을 전시한다. 정부의 중대재해 예방 강화 기조에 따라 건설안전 혁신기술과 솔루션을 공유하며, 건설업체 간 안전관리 우수사례 발표, 건설안전 세미나, VR기반 안전체험 이벤트 등이 진행된다. (주요 행사로 건설안전 세미나, 기술워크숍 등이 포함됨) 동기간 개최되는 **안전산업박람회(K-Safety Expo)**와 관람 구역을 연계하여 종합적인 안전 정보를 제공한다 .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K-Safety Expo 전시장 내 특별존 구성)
- 관람객 대상: 건설업계 종사자,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공사 발주처·감리사 등 B2B 전문 관람객. (안전산업박람회 관람객도 함께 관람 가능)
- 공식 홈페이지: www.k-consafetyexpo.com
G-FAIR KOREA 2025 (대한민국 우수상품전시회 2025)
- 개최 일정: 예정 2025년 10월 30일(목) ~ 11월 1일(토) (3일간)
- 주최: 경기도
- 주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GBSA)
- 주요 참가 기업/기관: 생활용품, 주방·가전, 식품, 뷰티·패션, 헬스케어, 산업재 등 국내 중소기업 약 500개사 참가 . 경기도를 비롯 전국 지자체 추천 우수 중소기업과 스타트업들이 대거 부스를 마련하며, 해외 바이어와 국내 대형유통사 바이어가 초청됨 (2024년 기준 해외 30개국 500여 명 바이어 참석) .
- 주요 내용 및 특징: 국내 최대 규모 중소기업 종합전시회로, 중소기업의 우수 제품 홍보와 판로 개척을 위한 장 . 전시 품목은 생활소비재부터 첨단 산업재까지 다양하며, 특히 생활·식품·뷰티·건강 등 소비재 분야 신제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 행사 기간 동안 국내 대형 유통업체 및 해외 바이어와의 1:1 구매상담회/수출상담회가 집중적으로 이뤄져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한다. 그밖에 중소기업 지원정책 설명회, 제품 홍보 홍보관, 관람객 대상 경품 이벤트 등이 마련되어 참가 기업의 판로 확대와 브랜드 홍보를 종합 지원한다.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4·5홀 (고양시)
- 관람객 대상: 국내외 유통 바이어, 구매 담당자 등 B2B 관람객 위주. 또한 일반 소비자(B2C)도 사전등록 시 입장 가능하며, 품질 좋은 중소기업 제품을 한자리에서 보고 구매할 수 있는 기회로 활용.
- 공식 홈페이지: www.gfair.or.kr (지페어 코리아)
로보월드 2025 (Robot World 2025)
- 개최 일정: 2025년 11월 5일(수) ~ 11월 8일(토) (4일간)
- 주최: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예정) – 20주년 특별 개최
- 주관: 한국로봇산업협회, 한국로봇산업진흥원 등 로봇관련 기관 (예정)
- 주요 참가 기업/기관: 현대로보틱스, 두산로보틱스, 네이버랩스 등 국내 로봇기업과 ABB, 야스카와, 쿠카 등 글로벌 로봇기업, 그리고 인공지능·자동화 솔루션 업체, 로봇 부품 및 소프트웨어 개발사, 연구기관 등. 아시아-태평양을 대표하는 국제 로봇 전시회로서 매년 수백 개사가 참여 .
- 주요 내용 및 특징: 2006년 시작되어 올해로 20주년을 맞는 국제 로봇산업 박람회 . 산업용 로봇, 서비스 로봇, 교육용 로봇, 군사/재난 로봇까지 최첨단 로봇 제품과 기술을 전시하며, 로봇이 다양한 산업에 어떻게 응용되어 미래 산업과 일상생활을 혁신하는지 조망한다 . 부대행사로 세계 로봇공학자들이 참여하는 국제로봇콘퍼런스(ISR), 학생·일반인 대상 국제로봇콘테스트 & R-Biz 챌린지(로봇 경진대회) , 그리고 로봇산업 발전 정책 및 시장동향을 논의하는 포럼 등이 개최된다. 2025년에는 20주년 기념으로 전시 규모를 확대하고 특별 퍼빌리언과 이벤트를 마련하여 한층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
- 장소: 킨텍스 제1전시장 1~3홀 (약 3만2천㎡ 규모)
- 관람객 대상: 제조업·물류 등 로봇수요 업계의 관계자(B2B), 로봇공학 연구자·학생, 정부·지자체 담당자 등이 주요 관람객. 또한 일반 국민(B2C)에게도 개방되어 가족 단위 관람객이 로봇 체험을 즐길 수 있는 행사 (어린이 로봇체험 프로그램 등 운영).
- 공식 홈페이지: robotworld.or.kr
각 박람회의 보다 자세한 정보와 최신 내용은 해당 공식 홈페이지와 킨텍스 이벤트 일정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정보는 2025년 예정된 주요 박람회를 기준으로 정리되었으며, 주최측 사정에 따라 일정 등이 변경될 수 있다. (출처: 킨텍스 및 각 행사 공식 웹사이트, 보도자료
등)
사업자 정보 표시
성진기업 | 신동수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중앙로 198 (구로기계공구상가) D블록 29-119 (우 : 08212) | 사업자 등록번호 : 113-02-81977 | TEL : 010-8772-8916 | 통신판매신고번호 : 2019-서울구로-0068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일기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드풋 러닝 훈련 루틴 (0) | 2025.04.10 |
---|---|
2025년 추계 캔톤페어 참관계획 (0) | 2025.03.16 |
유튜브 주제 (0) | 2025.02.26 |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요나라 칩 발표소식을 바라보며 (0) | 2025.02.21 |
공직사회에 chatgpt를 적극적으로 도입해야만 한다. (0) | 2025.02.18 |